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웹 브라우저의 통신 방식

 

 

웹 브라우저란?

인터넷 브라우저 라고도 하며, 웹 서버로 부터 정보를 요청(request) 하고 정보를 받아(response)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소프트웨어

일반적으로 웹 사이트에 접속하였을 때, HTML / CSS / JavaScript 등의 파일을 전달 받아 이를 해석하고,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있도록 처리 해주는 소프트웨어다.

 

이 과정에서 정적인 파일과 동적인 정보를 처리한다.

정적인 웹 페이지는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내용을 그대로 표시하지만, 동적인 웹 페이지는 서버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브라우저가 실시간으로 내용을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웹 페이지를 말한다.

 

 

브라우저의 대표적인 통신 방식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URL을 입력
  2. 웹 브라우저는 입력받은 URL을 DNS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 IP 주소를 찾는다.
  3.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4. 웹 브라우저는 해당 IP 주소로 HTTP 요청을 전달
  5. IP 주소에 연결된 웹 서버는 요청(Request)을 받아 처리
  6. 웹 서버는 처리 결과를 HTTP Response로 브라우저에게 전달
  7. 웹 브라우저는 받은 HTTP Response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표시

 

 

URL의 뜻과 URL 뜯어보기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인터넷(Internet)상의 리소스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합니다. 인터넷 상의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웹 브라우저는 주소창에서 원하는 인터넷 리소스를 조회하기 위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입력한다. 여기서, URL은 ‘`<프로토콜>://<도메인 명>:<포트>/<경로>`’의 구조를 가지며, 이는 웹서버의 특정한 리소스의 위치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http://cafe.naver.com/joonggonara 라는 URL을 보면

http는 프로토콜

cafe.naver.com 은 naver.com 이라는 메인 도메인 명과 cafe라는 서브 도메인 명

joonggonara는 서버에서 리소스 경로를 가리킨다.

해석해 보자면 네이버의 중고나라 라는 카페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렇게 URL을 통해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의 특정 리소스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고 요청을 전달한다.

 

 

DNS로 조회하기

DNS(Domain Name Service)는 도메인 이름을 중개하여, IP로 변경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마디로 정의 하자면 인터넷 상의 웹서버 연락처와 같다.

 

우리가 Naver 플랫폼의 블로그를 조회하고 싶다면 blog.naver.com 주소를 입력하여 해당하는 정보를 조회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blog.naver.com 주소와 같이 영어, 숫자, 특수문자로 이루어진 URL을 입력하면, 해당하는 URL을 IP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는 서비스를 DNS(Domain Name Service)라고 부르게됩니다.

 

인터넷 상의 각각의 리소스들은 고유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고, 이 IP 주소는 숫자와 점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람이 외우기 어렵고, 무슨 정보를 나타내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IP 8.8.8.8 은 Google이다. 와 같이 모든 사용자가 별도로 메모를 해야 인지할 수 있을 것 이다.

이럴 때 DNS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IP를 외우거나 메모해두지 않아도 해당 서비스의 특징적인 URL을 입력하면 편리하게 해당하는 인터넷의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다.

 

 

IP를 이용하여 웹 서버와 통신하기

IP(Internet Protocol) 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이 고유한 IP 주소를 가져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해당하는 장치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해준다.

 

IP는 일반적으로 IPv4, IPv6와 같이 2가지의 방법을 사용하는데 현재 까지는 IPv4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IPv4 와 IPv6의 차이점, 특징

인터넷이 처음 세상에 나왔을 때, 네트워크 상의 고유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32비트(8비트 4그룹, 약 43억 개)의 주소를 사용하는 IPv4체계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인터넷에 연결되는 기기의 증가로 인해, IPv4 주소 할당의 한계에 점점 다가가고 있습니다.

주로 데스크탑, 노트북등의 PC가 인터넷에 연결되었지만 현재는 스마트폰, IoT 기기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이 등장하면서 IP 주소를 필요로 하는 기기가 크게 늘게 되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28비트(16비트 8그룹)를 가진, 약 34 빌리언개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는 주소체계인 IPv6가 도입되었다.

 

IPv6는 단순히 주소의 확장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더 나은 확장성과 보안성을 제공하는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DNS를 이용하여 우리는 IP(Internet Protocol)를 얻게 되었다. 이제 얻은 IP를 바탕으로 인터넷 상의 리소스를 사용하거나, 조회하기 위한 통신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